본문으로 건너뛰기
배경 이미지

하이라이트

CI/CD 옵저버빌리티 도입 전략 가이드

CI/CD 옵저버빌리티는 모든 커밋, 테스트, 빌드, 배포를 살펴보면서 CI/CD 시스템의 전체 파이프라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전체 소프트웨어 배포 프로세스를 보고, 효율성과 병목 현상, 잠재적 장애 지점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 글은 CI/CD 옵저버빌리티 개념과 구현 방식, 필요성, 모범 관행을 다뤘습니다.

DevOpsci/cd옵저버빌리티

자세히 보기

"생산성" 태그와 연관된 14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나만의 n8n 노드 만들기 1부 : 커뮤니티 노드 개발부터 배포까지나만의 n8n 노드 만들기 1부 : 커뮤니티 노드 개발부터 배포까지

n8n은 다양한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연결해 워크플로를 자동화하는 도구입니다.

Jeff
Jeff | DevOps Engineer
파이프라인 개발 간소화 핵심! GitLab CI/CD 컴포넌트, 카탈로그 잘 써먹기파이프라인 개발 간소화 핵심! GitLab CI/CD 컴포넌트, 카탈로그 잘 써먹기

안녕하세요. 인포그랩에서 DevOps 엔지니어로 근무하는 John입니다. 여러분은 GitLab으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때,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하시나요?

John
John | DevOps Engineer
엔지니어를 위한 기술 블로그 작성 비법(feat. 빠르고 완성도 높게 글쓰기)엔지니어를 위한 기술 블로그 작성 비법(feat. 빠르고 완성도 높게 글쓰기)

안녕하세요. 인포그랩 프로덕트 팀에서 백엔드 엔지니어로 근무하는 Andy입니다.

Andy
Andy | Software Engineer
DevOps 엔지니어 ‘일잘러’로 만드는 맥북 필수 도구DevOps 엔지니어 ‘일잘러’로 만드는 맥북 필수 도구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좋은 도구를 사용하면 초보자도 장인처럼 일할 수 있습니다.

Jeff
Jeff | DevOps Engineer
개발자 생산성 지표를 넘어 AI 효과 측정하기개발자 생산성 지표를 넘어 AI 효과 측정하기

인공지능(AI) 기반 생산성 도구는 ‘반복적인 코딩과 지루한 작업을 자동화하고, 코드를 생성하여 생산성을 향상한다’고 약속합니다. 그러나 조직이 ‘생산성 도구의 AI 영향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아직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Fabbro
Fabbro | Software Engineer
슬랙봇을 활용한 기술 블로그 배포 자동화 이야기슬랙봇을 활용한 기술 블로그 배포 자동화 이야기

IT 기업의 기술 블로그는 단순히 기술 지식과 정보를 나누는 통로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이는 기업의 기술력과 개발 문화를 대외로 드러내는 창구이기도 한데요.

Jeff
Jeff | DevOps Engineer
원격 디자인 스프린트 쉽게 하는 방법원격 디자인 스프린트 쉽게 하는 방법

최근 조사 결과,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의 배포 단계에 속하는 GitLab Environments 기능의 채택률은 낮고 이는 일부 유용성 문제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ichael
Michael | Software Engineer
효과적인 릴리즈 노트 작성 방법효과적인 릴리즈 노트 작성 방법

여러분은 릴리즈 노트를 어떻게 작성하고 계신가요? 릴리즈 노트에 그저 ‘버그 수정’ 또는 ‘기능 개선’이라고만 쓰지는 않으신가요? 제품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다 보면 릴리즈 노트를 자칫 소홀히 작성할 우려가 있는데요. 릴리즈 노트를 관성에 기대어 성의 없이 쓰는 건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는 릴리즈 노트가 소프트웨어 릴리즈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인데요. 릴리즈 노트는 제품 성과를 대내외에 공유하고, 사용자 또는 기업 내 구성원이 제품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지원하며, 기업과 고객이 원활하게 소통하도록 돕습니다.

정리하면, 릴리즈 노트는 API 문서나 가이드처럼 독자(사용자, 기업 내 구성원 등)를 대상에 두고 작성하는 콘텐츠고요. 이에 독자 관점에서도 릴리즈 노트를 이해하기 쉽게, 도움이 되도록 써야 합니다. 엔지니어는 일상 업무로 릴리즈 노트를 종종 작성하는데요. 그렇다 보니 엔지니어 스스로 ‘난 릴리즈 노트 작성 방법을 잘 안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자칫 독자, 그중에서도 사용자 입장을 더 고려하지 않고 엔지니어 관점에서만 릴리즈 노트를 쓰도록 이끌 수도 있는데요. 우리가 바람직한 릴리즈 노트 작성 방법을 꾸준히 공부하고, 관련 지식을 업데이트해야 할 이유입니다.

이 글에서는 릴리즈 노트를 효과적으로, 명확하게 써서 독자와 원활하게 소통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릴리즈 노트의 개념과 중요성, 효과적인 릴리즈 노트 작성 방법을 살펴보고요. 아울러 인포그랩 프로덕트 팀의 릴리즈 노트 작성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Hailie
Hailie | Software Engineer
Expert Labs로 DevOps 실무 역량 똑똑하게 키우는 방법Expert Labs로 DevOps 실무 역량 똑똑하게 키우는 방법

오늘날 소프트웨어 개발 업계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신기술은 하루가 멀다 하며 쏟아지고 있고요. 이는 엔지니어의 개발 방식, 문화, 환경을 뒤흔들죠. 특히 DevOps 엔지니어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기술 발전에 뒤처지지 않도록 꾸준히 공부해야 합니다. DevOps가 여전히 과도기에 머문 조직도 적지 않고요. DevOps 엔지니어는 내부에 DevOps를 잘 정착시켜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로써 DevOps 엔지니어는 조직에서 시장과 고객 요구에 부합하는 ‘훌륭한 프로덕트’를 만들도록 기여해야 하죠. 그러려면 DevOps 엔지니어가 기술 트렌드 변화를 계속 확인하고, 조직에서 개발 모범 관행을 만드는 역량도 쌓아야 합니다.

인포그랩 기술 블로그 독자 가운데에는 DevOps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이제 막 시작했거나, 이미 DevOps 엔지니어로 일하며 관련 지식과 정보를 구하려는 분들이 많은데요. 인포그랩에서는 이러한 분들이 현업에서 DevOps 실무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DevOps Expert Labs’라는 서비스를 최근 선보였습니다. DevOps Expert Labs는 실무자를 위한 DevOps 교육 서비스인데요. 이는 손으로 조작하며 직접 따라 해 보는 ‘핸즈온’ 교육 방식을 취합니다. 학습자는 이 서비스로 DevOps 기반 기술, DevOps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지속적 통합/테스트/배포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등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과 프로덕션 수준 환경에서 직접 실습하고요. 기술 관행까지 배울 수 있죠. 이 글에서는 DevOps 엔지니어로 일할 때 알아야 할 지식과 인포그랩의 DevOps Expert Labs로 이를 잘 학습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Jeff
Jeff | DevOps Engineer
인포레터에서 최신 DevOps 트렌드를 격주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