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포그랩 프로덕트 팀에서 백엔드 엔지니어로 근무하는 Andy입니다. 엔지니어는 README, API 설계 문서, 가이드, 기술 블로그 등 다양한 기술 문서를 작성합니다. 오늘은 이 중에서도 기술 블로그 작성법을 이야기하고자 하는데요. 기술 블로그는 기술 지식과 정보를 스토리텔링 하듯 아티클 형태로 전달하죠. 이는 개조식으로 쓰는 보고서와 다르고, 분량이 길어 작성하기 쉽지만 않습니다. 특히 사내 기술 블로그는 기업 공식 채널인 만큼 콘텐츠 완성도에 신경이 쓰이고요.
이에 기술 블로그 작성을 부담스러워하는 엔지니어도 많은데요. 엔지니어는 글쓰기가 본업이 아니기에 기술 블로그를 잘 써야 할 동기를 부여받거나, 글을 능숙하게 작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울러 대내외 프로젝트, 고객사 기술 지원과 교육, 개발 등 본업을 수행하면서 사내 기술 블로그 작성까지 요청받으면 마감일 안에 글을 완성하기 벅찰 수 있죠. 또 콘텐츠 품질까지 높이려면 부담이 더 커져서 기술 블로그 작성을 시작조차 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요즘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로 콘텐츠 제작 문턱이 낮아졌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자기가 직접 기술 블로그를 써야 하는 이들도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인포그랩과 저의 기술 블로그 업무 수행 방식을 토대로 ‘엔지니어가 마감일 안에 사내 기술 블로그를 쉽고 빠르게 고품질로 완성하는 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인포그랩의 기술 블로그 운영 방식

인포그랩은 매주 수요일마다 기술 블로그에 신규 콘텐츠를 발행합니다. 발행일이 공휴일과 겹치면 일정을 하루 앞당길 때도 있죠. 이와 별개로 GitLab 릴리즈 노트와 보안 릴리즈 소식은 GitLab 공식 발표가 나온 다음 날 바로 발행합니다.
인포그랩은 기술 블로그에 콘텐츠를 정기 발행하기 위해 당번과 마감일을 정해 운영합니다. 당번은 마감일과 발행일을 지키기 위해 책임감 있게 기술 블로그를 작성하는데요. 기술 블로그 마감, 배포 일정을 정례화한 뒤로 그 누구도 발행일을 지키지 못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인포그랩 기술 블로그에는 내부 DevOps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프로젝트 매니저, 세일즈 매니저, 전략 & 경영지원 매니저, 테크니컬 라이터 등 다양한 직무의 구성원이 글을 씁니다. 저자별로 직무와 특성이 다채롭다 보니 DevOps, 개발, DevRel, 테크니컬 라이팅 등 기술을 중심으로 여러 주제의 콘텐츠를 선보입니다.
Andy의 기술 블로그 업무 수행 방식

저는 두 달에 한 번꼴로 사내 기술 블로그에 글을 기고합니다. 올해 초 인포그랩에 입사해 지금까지 총 3편의 기술 블로그를 작성했는데요. OKR, 기술 부채, 기술 블로그 작성법을 주제로 글을 썼습니다. 이중 ‘기술 부채 어떻게 상환할까?’라는 글은 개발자 커뮤니티 ‘커리어리’에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저는 기술 블로그를 작성할 때 개인적으로 흥미 있으면서 기술 커뮤니티에도 유의미한 주제를 선정합니다. 그다음, 개요를 작성하고, 자료를 조사하고요. 이어서 초안을 쓰고, 막히는 점이 있으면 사내 테크니컬 라이팅 시스템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초안을 작성한 뒤에는 AI로 글 리뷰를 받고요. 글을 개선해 마감일까지 사내 테크니컬 라이 터에게 제출합니다. 이후 사내 테크니컬 라이팅 시스템에 따라 리뷰, 편집이 이뤄져 발행일에 글이 배포되죠.
개발 업무를 수행하면서 마감일에 맞춰 격월로 기술 블로그를 작성하는 일은 녹록지만 않은데요. 저는 업무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료를 미리 조사하며 기한 안에 내실 있는 글을 완성하려 노력합니다. 다행히 지금까지 마감일을 어긴 적은 단 한 번도 없는데요. 제가 시간·업무·심적 압박을 관리하며 주어진 시간에 기술 블로그를 양질의 콘텐츠로 완성하는 방법을 프로세스별로 소개하겠습니다.
1. 주제 선정
저는 다음 기준에 따라 기술 블로그 주제를 선정합니다. 첫째, ‘평소에 내가 고민하거나 알고 싶고, 독자에게도 흥미로운 주제인가?’. 둘째, ‘내가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인가?’입니다. 제가 관심 없고, 재미를 못 느끼는 주제로 글을 쓰려면 시간과 에너지가 낭비되는데요. 개인적인 욕구도 함께 충족하는 주제를 선정하면 동기 부여를 받아 의욕적으로 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지난 6월 제가 쓴 "기술 부채 어떻게 상환할까?"라는 글이 그 예인데요. 그때 저는 클린 코드와 팀 기술 부채 해결 방안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기술 부채’를 주제로 글을 작성하면 제 호기심과 궁금증을 해결하고, 글도 즐겁게 쓸 수 있을 거로 기대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해당 주제를 선정했고, 글을 준비하며 많은 걸 배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