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라이트
- 기술 블로그
- 릴리즈/뉴스
"엔지니어" 태그와 연관된 5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좋은 도구를 사용하면 초보자도 장인처럼 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포그랩에서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Fabbro입니다. 저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 출신 엔지니어인데요. 인포그랩에 입사한 지 1년 6개월이 조금 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고등학생 신분으로 인포그랩에 입사해 DevOps 엔지니어로 근무하는 John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10대 고등학생 대부분이 고등학교 3년 과정 동안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대비해 공부하고요. 입시 전형을 거쳐 대학에 진학합니다.
그러나 저는 고등학교 3년 과정 동안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대신 취업에 도움이 되는 여러 활동에 참여했고요. DevOps 엔지니어가 되는 데 필요한 밑바탕을 꾸준히 쌓는 데 주력했습니다. 그 결과, 고등학교를 졸업하기도 전에 고등학교 3학년, 18세의 나이로 DevOps 기업에 취업했습니다.
고등학생 신분으로 벌써 취업하는 일도, DevOps 엔지니어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일도 세상에 아예 없는 일은 아니지만 드문 일일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제가 다른 10대 친구들과 달리 ‘어쩌다가 IT 시장에서 흔치 않은 DevOps 엔지니어로 첫 커리어를 시 작했는지’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재밌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DevOps를 잘 이해하고 실무에 올바르게 적용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정확한 방향으로 노를 저으며 DevOps 여정을 항해하려면 DevOps를 제대로 공부해야 하는데요. 먼저 기술 측면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 단계별로 다양한 기술 스택과 도구를 알아야 하죠. 이러한 지식은 분량이 상당해 학습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아울러 DevOps 실무 노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