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 블로그
- 릴리즈/뉴스
"GitLab" 태그와 연관된 90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DevOps를 적용한다고 하면, CI/CD를 포함하는 자동화를 제일 먼저 생각하게 됩니다. CI/CD를 완료성있게 구축하고 운영하는 일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GitLab과 같이 단일 도구를 사용하면 조금 더 간단해질 수 있습니다. GitLab은 CI/CD 스크립트를 레파지토리에 .gitlab-ci.yml 파일로 소스 코드 관리하는 방식으로 이용됩니다. 소스 코드가 업데이트 되면, 파이프라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erge Request 화면에서도 변경에 대한 파이프라인 결과를 확인하면서 자동화 테스트, 보안 테스트, 배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단순화시키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DevOps 실무자들이 만들어갑니다. 인포그랩은 GitLab을 사용하는 실무자들이 CI/CD 파이프라인을 쉽게 운영관리할 수 있는 밀키트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프로젝트마다 CI 스크립트를 복사 & 붙여넣기 하지 않고 템플릿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지난 'MergeRequest 왜 사용해야 할까?'에서는 협업을 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MR(MergeRequest)의 이점을 살펴보고 MR을 사용해야하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MR 사용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협업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우리의 삶에서 인터넷을 떼어 놓을 수 없듯이 어떤 서비스를 하든 소프트웨어가 빠지는 곳이 없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사이즈는 거대해졌고, 기술과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다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사람들이 협업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많은 사람들이 협업을 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여러 사람들과 협업을 하다보면 다양한 문제를 마주치게 됩니다.


구축형 GitLab을 설치해보셨거나 설치하실 계획이 있으신가요? 구축형 GitLab을 사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상황은 다양합니다. 사용하는 유저의 수, 가용성,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여부 등 이러한 환경에 대해 전부는 아니지만, 구축에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오늘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 일반적인 환경에서 1,000명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작성된 아키텍처
-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2,000명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작성된 아키텍처
더 다양한 레퍼런스 아키텍처가 필요하신 경우에는 GitLab 공식 Docs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GitLab의 Compliance 관련 기능은 개발 및 배포 프로세스에서 규정 준수를 통합하도록 돕습니다. 이번에는 GitLab이 가지고 있는 Compliance 기능(이하 규정 준수)에 대해 설명합니다.
왜 GitLab 인스턴스의 보안과 규정 준수에 대해 알아야할까요?
리스크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것 이외에도 고려해야 할 규정 및 준수 사항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규제 및 감사는 기업이 규모화 됨에 따라 피할 수 없는 일이며, 관리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고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GitLab은 조직의 규정 준수 사항을 만족하고, DevOps 툴의 운영 환경을 보다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몇가지 내장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기능들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기능들이 무료인 프리티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코딩 컨벤션 체크에서부터, 단위 테스트, 코드 사이닝, iOS 앱 빌드, TestFlight에 앱을 배포한 것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GitLab CI/CD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OS 앱을 개발하면서 코드사이닝, 버전 및 빌드 번호 변경, 테스트하여 TestFlight 및 App Store에 배포하는 일련의 과정은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습니다. Fastlane과 GitLab CI/CD 파이프라인을 사용하면 이러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거나 기존 기능을 개선한 후, 코드를 커밋하고 GitLab에 Push만 하면 됩니다. GitLab CI/CD 파이프라인이 개발자를 대신해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하고 TestFlight 및 App Store에 앱을 배포합니다.


GitLab으로 개발자의 업무시스템을 쓰신다고요? GitLab 서버가 장애로 Git 활동이나 MR 활동 못하면 협업에 지장이 생기고, 불편을 초래하게 되죠? 이를 방지하기 위해 GitLab도 HA로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GitLab Reference Architecture에는 3000명 이상 사용자 부터 HA를 구성에 대한 가이드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GitLab Korea Meetup에서 우리회사 Jason 께서 세션 발표를 짧게 진행해 주셨습니다.
발표에서 나온 인사이트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명절은 잘 보내셨나요? 2022년 새해를 맞아 인포그랩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와주신 독자님들께,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Lab의 모티브가 되는 프레임워크인 GitOps에 대한 설명과 GitOps를 지원하는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 중 GitLab이 가지는 특색을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지난 6개월 동안 GitLab은 팀과 개인 기여자에게 설문 조사를 통해 DevOps 플랫폼 관행을 평가하도록 요청했습니다. 현재까지 6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여 오늘날의 DevOps에 대한 명확하고 다소 놀라운 스냅샷을 제공했습니다. 물론 기술적인 승리는 분명하지만 DevOps와 최신 소프트웨어 개발이 비즈니스 변화를 주도하는 방법을 엿볼 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