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라이트
- 기술 블로그
- 릴리즈/뉴스
"인포그랩" 태그와 연관된 7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인포그랩이 찾는 FE 개발자(feat. 채용 경험과 성공적인 구직 조언)안녕하세요! 인포그랩의 프로덕트 팀장 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Michael입니다.
엔지니어 업무 회고, 어떻게 하면 좋을까?IT 업계는 짧은 기간에 제품을 빨리 개발, 출시, 개선하는 애자일 방법론을 많이 채택하죠.
고등학생이 DevOps 엔지니어로 사회에 출사표 던진 사연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고등학생 신분으로 인포그랩에 입사해 DevOps 엔지니어로 근무하는 John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10대 고등학생 대부분이 고등학교 3년 과정 동안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대비해 공부하고요. 입시 전형을 거쳐 대학에 진학합니다.
그러나 저는 고등학교 3년 과정 동안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대신 취업에 도움이 되는 여러 활동에 참여했고요. DevOps 엔지니어가 되는 데 필요한 밑바탕을 꾸준히 쌓는 데 주력했습니다. 그 결과, 고등학교를 졸업하기도 전에 고등학교 3학년, 18세의 나이로 DevOps 기업에 취업했습니다.
고등학생 신분으로 벌써 취업하는 일도, DevOps 엔지니어로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일도 세상에 아예 없는 일은 아니지만 드문 일일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제가 다른 10대 친구들과 달리 ‘어쩌다가 IT 시장에서 흔치 않은 DevOps 엔지니어로 첫 커리어를 시작했는지’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재밌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지금 엔지니어가 DevOps Expert Labs에 주목해야 할 이유DevOps를 잘 이해하고 실무에 올바르게 적용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정확한 방향으로 노를 저으며 DevOps 여정을 항해하려면 DevOps를 제대로 공부해야 하는데요. 먼저 기술 측면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사이클 단계별로 다양한 기술 스택과 도구를 알아야 하죠. 이러한 지식은 분량이 상당해 학습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아울러 DevOps 실무 노하우도 익혀야 하는데요. 기업에 시니어 DevOps 엔지니어나 DevOps 조직이 없다면 이를 습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베테랑에게서 DevOps 실무 조언을 들을 기회가 적고요. 내부에서 DevOps 실무를 체계적으로 훈련받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이에 많은 DevOps 엔지니어가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서 DevOps 강의를 수강하며 지식과 실무 노하우를 효율적으로 학습하려 하는데요. 인포그랩에서는 이런 수요를 겨냥해 최근 DevOps 교육 서비스인 ‘DevOps Expert Labs’를 선보였습니다. 이는 실무자를 위한 DevOps 교육 서비스인데요. DevOps Expert Labs는 현업에서 DevOps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데 주력합니다. 이는 기초 교육과 실무 교육을 두루 지원하는데요. 러닝 패스(커리큘럼)에 따라 DevOps 도구와 지식을 체계적으로 알려주죠. DevOps의 모든 분야를 아우릅니다.
특히 DevOps Expert Labs는 손으로 조작하며 직접 따라 해 보는 ‘핸즈온’ 교육 방식으로 진행되는데요. 학습자는 이 서비스로 DevOps 기반 기술, DevOps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지속적 통합/테스트/배포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등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과 프로덕션 수준 환경에서 직접 실습하고요. 기술 관행도 배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DevOps 교육 서비스를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 국내외 DevOps 교육 서비스 현황과 특징을 알아보고요. 인포그랩의 DevOps Expert Labs 특징과 차별점을 살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