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25년 GitOps 트렌드 4가지를 소개합니다. GitOps는 버전 제어, 협업, 컴플라이언스, CI/CD 등 DevOps 모범 관행을 인프라 자동화에 적용하는 운영 프레임워크죠. 이는 Kubernetes로 구동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GitOps는 Git 저장소를 단일 소스로 사용해 인프라를 코드로 제공하고요. Git 저장소를 중심 요소로 배포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게 특징입니다. 소프트웨어 배포 속도, 안정성, 보안을 강화하는 핵심 방법으로, 오늘날 배포 프로세스를 개선하려는 조직에서 도입하죠.

최근 글로벌 배포 자동화 기업 Octopus Deploy와 자회사인 GitOps CD 플랫폼 Codefresh에서 ‘The State of GitOps Report’*라는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오늘날 글로벌 GitOps 동향을 자세히 다뤘는데요. GitOps 도입 현황, 성숙도, 이점, 전망 등을 골고루 소개하죠. 업계에 GitOps 동향을 다룬 정제된 보고서가 드물어 의미있는 자료입니다.

저는 이 보고서에서 GitOps 도입 현황과 성숙도를 중심으로 4가지 GitOps 트렌드를 소개하려 합니다. GitOps 도입 양극화와 확산, 기본 단계에 머문 구현 수준, 애플리케이션 구성 중심 활용, 도구 선택 1위인 ArgoCD가 그 내용인데요. DevOps 유관 분야 기업 관계자들의 제언을 더 해 각 트렌드의 상세 현황과 등장 배경, 유의 사항을 정리했습니다.

*660건의 설문조사 응답 데이터와 전문가, 실무자 패널 인터뷰를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함. 응답자는 북미(39%), 유럽(28%), 아시아(19%) 등에 분포함. 직군은 DevOps 담당자, 개발자, 플랫폼 엔지니어, 클라우드 인프라 엔지니어, 엔지니어링 매니저, 시스템 관리자, SRE 등임.

1. GitOps 도입 양극화와 확산

조직의 GitOps 프로덕션 사용 분포.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 인포그랩 GitLab
조직의 GitOps 프로덕션 사용 분포.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오늘날 조직의 GitOps 도입 수준은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모 아니면 도’ 방식으로 분화되고 있다는 의미인데요. Octopus Deploy·Codefresh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직의 GitOps 프로덕션 사용 분포는 초기 도입 단계(0 ~ 30%)와 성숙 도입 단계(50 ~ 100%)로 극명하게 나뉘었습니다. 초기 도입 단계는 전체 44%, 성숙 도입 단계는 전체 48%를 차지했죠. 반면에 중간 도입 단계(30 ~ 50%)는 전체 10%에 그쳤습니다. 여기서 초기 도입 단계는 GitOps를 ‘실험적으로 사용하거나, 일부 시스템에만 적용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고요. 중간 도입 단계는 ‘과도기’를, 성숙 도입 단계는 ‘GitOps를 핵심 운영 방식으로 채택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직이 GitOps를 빠르게 전면 도입하거나, 제한적 사용에 머물고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 GitOps가 모든 조직에 보편적으로 깊숙이 자리 잡은 건 아니지만, 이를 채택한 조직에서는 거의 모든 프로덕션 시스템에 사용하고 있죠. 앞으로 GitOps 도입은 점점 더 늘어날 걸로 전망됩니다. Octopus Deploy·Codefresh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직의 93%가 GitOps를 채택하거나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이는 GitOps의 파일럿이 잘 동작하면, 프로필이 비슷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로 빠르게 확장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가시성과 일관성, 속도 향상 등의 장점은 GitOps 도입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러나 Kubernetes와 선언적 인프라가 익숙하지 않은 팀이 느끼는 러닝 커브는 GitOps 도입을 어렵게 하죠. 아울러 Git 커밋 자동화에 따른 충돌, 너무 많은 Git 리포지터리도 GitOps의 제한적 도입에 영향을 줍니다. 글로벌 소프트웨어 개발 스튜디오 Heron Web의 창업자인 James Walker는 GitOps 모범 관행을 이렇게 제언하는데요. 첫째, Git 리포지터리가 단일 진실 공급원인지 확인합니다. 둘째, 드리프트 탐지를 구성해 예상치 못한 인프라 변경 사항을 표시하고요. 셋째, Policy-as-code 거버넌스로 액세스와 컴플라이언스 요구 사항을 적용하는 게 좋습니다.

2. 구현 수준, 아직 기본 단계

GitOps 도입 퍼널 현황.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 인포그랩 GitLab
GitOps 도입 퍼널 현황.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조직의 GitOps 구현 수준은 아직 낮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Octopus Deploy·Codefresh의 설문조사에서는 GitOps 관행 채택률을 ‘GitOps 도입 퍼널(funnel)’로 보여주는데요. 이는 버전 제어(93%), 인간이 읽을 수 있는 구성(88%), 선언적 구성(35%), 자동 동기화(16%) 순으로 높았죠. 여기서 주목할 점은 GitOps 구현의 높은 수준인 ‘자동 동기화’ 채택률이 가장 낮다는 건데요. 선언적 구성 채택률보다 절반 이상 적었습니다.

오늘날 GitOps 구현은 기본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채택률이 가장 높은 버전 제어는 이미 많은 조직에서 사용하고 있죠. 아울러 이 조사에서는 선언적 구성의 채택률이 앞선 다른 관행보다 많이 감소하는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선언적 구성 채택률은 인간이 읽을 수 있는 구성(YAML, JSON 형식 사용) 채택률보다 53%p 낮았습니다. 이는 기술 복잡성, 러닝 커브, 조직 준비도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한 걸로 풀이되고요. 조직에서 선언적 구성을 어렵게 인식하는 걸로 유추할 수도 있습니다.

GitOps 구현 수준은 GitOps 이점의 체감 정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Octopus Deploy·Codefresh에서는 “GitOps 관행이 부족하면, 조직이 이 접근 방식에서 기대되는 이점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고 분석하죠. 일례로, 설문조사에서 ‘GitOps가 구성 드리프트를 방지한다’는 응답률이 GitOps 도입 성숙도가 높은 조직일수록 가장 높았고요. 조직의 GitOps 도입 성숙도가 낮을수록 응답률은 점점 더 낮아졌습니다.

3. 애플리케이션 구성 중심 활용

버전 제어된 파일에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응답.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 인포그랩 GitLab
버전 제어된 파일에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응답.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조직에서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배포를 위해 GitOps를 사용합니다. Octopus Deploy·Codefresh의 설문조사에서 ‘버전 제어된 파일에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질문에 애플리케이션/서비스 배포(79%)가 가장 컸고요. 애플리케이션 구성(73%), 인프라(57%), 환경 (49%), 런타임(40%), 데이터베이스 스키마(38%), 클러스터 부트스트래핑 구성(35%)은 그 뒤를 이었죠. 시크릿(23%), 리포지터리 접근 규칙(18%), 관리 에이전트(15%)는 응답률이 낮았습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관련 구성이 인프라나 보안 관련 구성보다 더 많이 버전 제어되는 걸 알 수 있고요. 보안 관련 구성의 채택률은 지극히 낮은 걸 확인할 수 있죠. 버전 제어에서 시크릿을 저장하는 방식을 두고 여러 논의가 있습니다. ‘Sealed secrets’와 같은 기술은 실무에 사용되기도 하고요. 그러나 Octopus Deploy·Codefresh에서는 “지속적 배포 도구와 전용 Vault가 시크릿을 안전하게 다루고, 한 곳에서 쉽게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고 높게 평가합니다.

글로벌 옵저버빌리티 기업 Splunk는 버전 제어 맥락에서 다음 GitOps 모범 관행을 제안합니다. 첫째, 리포지터리보다 브랜치를 선택합니다. 팀당 리포지터리를 1개로 제한하고요. 리포지터리가 더 필요하면, 브랜치를 대신 사용합니다. 이는 전체 시스템 개요를 쉽게 파악하고, 시간을 절약하며, 개발자 간에 코드 공유와 피드백을 원활히 하죠. 둘째, 새로운 코드를 배포할 때, push 대신 Merge request를 사용합니다. 이는 특정 변경이 이뤄진 이유와 수행 주체를 파악하고, 트러블슈팅과 디버깅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4. ArgoCD, 도구 선택 1위

오픈 소스 GitOps 도구 채택률.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 인포그랩 GitLab
오픈 소스 GitOps 도구 채택률. 출처=Octopus Deploy·Codefresh

조직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오픈 소스 GitOps 도구는 단연 ArgoCD였습니다. Octopus Deploy·Codefresh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절반이 해당 도구로 ArgoCD를 꼽았고요. Flux는 11%로 뒤를 이었죠. 한편,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프라 자동화 도구는 Terraform(67%), Crossplane(7%), Pulumi(7%), Bicep(3%) 순이었고요. ‘수동으로 인프라를 관리한다’는 응답도 37%나 됐습니다. 이 조사에서 Terraform의 가장 큰 경쟁자는 수작업이었습니다.

ArgoCD는 Kubernetes용 오픈 소스 도구로, 개발자가 GitOps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빠르고 안전하게 배포하도록 지원합니다. 이 도구는 배포를 자동화해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간소화한 게 특징이죠. Flux는 Kubernetes 클러스터의 상태가 Git의 구성과 일치하는지 자동 보장하고요. 클러스터 오퍼레이터를 사용해 Kubernetes에서 배포를 트리거합니다. 별도 CD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죠.

시중에는 ArgoCD, Flux 외에도 Werf, Codefresh 등 다양한 GitOps 도구가 있는데요.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관리 플랫폼 Devtron의 OSS 에반젤리스트인 Bhushan Nemade는 GitOps 도구 평가 기준 6가지를 제시합니다. 첫째, Kubernetes 네이티브 아키텍처, 둘째, 멀티 클러스터 배포 지원, 셋째, 규칙 기반 접근 제어(RBAC), 넷째, GitOps 자동화와 드리프트 탐지, 다섯 번째, 확장성과 CI/CD 통합, 여섯 번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성이죠. 이를 고려해 사용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도구를 선택하는 걸 권장합니다.

맺음말

지금까지 2025년 GitOps 트렌드 4가지를 알아봤습니다. 이 글의 요점은 다음과 같은데요.

  1. 오늘날 조직의 GitOps 도입 수준은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Octopus Deploy·Codefresh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직의 GitOps 프로덕션 사용 분포는 초기 도입 단계(0 ~ 30%)와 성숙 도입 단계(50 ~ 100%)로 극명하게 나뉘었습니다. 초기 도입 단계는 전체 44%, 성숙 도입 단계는 전체 48%를 차지했죠. 중간 도입 단계(30 ~ 50%)는 전체 10%에 그쳤습니다.
  2. 조직의 GitOps 구현 수준은 아직 낮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설문조사에서는 GitOps 관행 채택률을 ‘GitOps 도입 퍼널(funnel)’로 보여주는데요. 이는 버전 제어(93%), 인간이 읽을 수 있는 구성(88%), 선언적 구성(35%), 자동 동기화(16%) 순으로 높았죠. 여기서 주목할 점은 GitOps 구현의 높은 수준인 ‘자동 동기화’ 채택률이 가장 낮다는 겁니다.
  3. 조직에서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배포를 위해 GitOps를 사용합니다. 설문조사에서 ‘버전 제어된 파일에 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구성’ 질문에 애플리케이션/서비스 배포(79%)가 가장 컸고요. 시크릿(23%), 리포지터리 접근 규칙(18%), 관리 에이전트(15%)는 응답률이 낮았습니다.
  4. 조직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오픈 소스 GitOps 도구는 ArgoCD였습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절반이 해당 도구로 ArgoCD를 꼽았고요. Flux는 11%로 뒤를 이었죠. 한편,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프라 자동화 도구는 Terraform(67%), Crossplane(7%), Pulumi(7%), Bicep(3%) 순이었습니다.

참고 자료

  1. Steve Fenton·Bob Walker·Dan Garfield·Kostis Kapelonis·Joanna Wyganowska·Matthew Casperson·Idan Arbel·Matt Allford, “State Of GitOps Report”, Octopus Deploy·Codefresh, 2025, https://octopus.com/publications/state-of-gitops-report
  2. Liam Mackie, “Is GitOps right for you?”, Octopus Deploy, 2025-01-29, https://octopus.com/blog/gitops-right-for-you
  3. “What Is GitOps? How Git Can Make DevOps Even Better”, Codefresh, https://codefresh.io/learn/gitops/
  4. James Walker, “15 GitOps Best Practices to Improve Your Workflows”, Spacelift, 2025-03-17, https://spacelift.io/blog/gitops-best-practices
  5. Stephen Watts, “What is GitOps: The Beginner's Guide”, Splunk, 2023-11-09, https://www.splunk.com/en_us/blog/learn/gitops.html
  6. “GitOps Tools: 6 Tools You Need to Know”, Codefresh, https://codefresh.io/learn/gitops/gitops-tools-6-tools-you-need-to-know/
  7. Bhushan Nemade, “Top 5 Argo CD Alternatives”, Devtron, 2025-04-16, https://devtron.ai/blog/argocd-alternatives/

지금 이 기술이 더 궁금하세요? 인포그랩의 DevOps 전문가가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