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랩은 최근 실무자를 위한 DevOps 교육 서비스인 ‘DevOps Expert Labs’를 선보였는데요. DevOps Expert Labs에서는 난이도와 프로그래밍 언어/플랫폼에 따라 다양한 러닝 패스(커리큘럼)를 운영합니다. DevOps 실험실, DevOps 기초, DevOps 플랫폼 구축, 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DevOps 파이프라인 등이 그 예인데요. 인포그랩은 이 가운데 ‘DevOps 플랫폼 구축’ 러닝 패스를 주제로 지난 10월 16~20일 분당 서현 동네소셜라운지에서 DevOps Expert Labs의 첫번째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5일 동안 열린 워크숍에는 CJ올리브네트웍스(3명)와 두산 디지털이노베이션(2명) 실무자들이 참여했고요. DevOps Expert Labs의 메인 강사인 제가 DevOps 플랫폼 구축 방법을 교육했습니다.
인포그랩은 지난 6개월 동안 DevOps Expert Labs를 개발하고, 출시를 준비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고객사를 대상으로 처음 진행한 DevOps Expert Labs 워크숍이었기에 회사로서 의미가 컸는데요. 저는 이전에도 워크숍을 여러 차례 진행 한 경험이 있지만 이번 워크숍은 그 어느 때보다 기대되고, 긴장감도 느꼈습니다. 이 글에서는 DevOps Expert Labs 특징과 러닝패스, 서비스 업데이트 내용을 살펴보고요. 워크숍 준비 과정과 진행 방식, 고객 피드백 내용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DevOps Expert Labs 소개
DevOps Expert Labs는 현업에서 DevOps 실무를 수행하는 엔지니어의 눈높이에 맞춘 핸즈온(실제 손으로 조작) 방식의 DevOps 교육 서비스입니다. 그동안 인포그랩은 다양한 기업과 기관에서 DevOps 컨설팅을 수행하고, DevOps 플랫폼을 구축했는데요. 저희는 이러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DevOps Expert Labs의 교육 콘텐츠를 직접 제작했습니다.
기존 국내외 DevOps 교육 서비스는 초급, 중급 수준의 프로그래밍 강의를 주로 공급하는데요. DevOps Expert Labs는 기존 DevOps 교육 서비스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출시됐습니다. 이 서비스는 SaaS(Software-as-a-service) 플랫폼으로, 초급~전문가 난이도를 두루 아우르는 DevOps 교육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DevOps Expert Labs는 현업 실무자들이 전문 DevOps 엔지니어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데요. 이를 위해 DevOps 전문 지식과 역량을 키우고, 엔지니어링 성숙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 콘텐츠와 코칭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DevOps Expert Labs의 교육 진행 방식은 이렇습니다. 러닝 패스를 토대로, DevOps 워크숍을 오프라인에서 실시하는데요. 참가 인원은 46명으로, 워크숍은 25일 동안 진행합니다. 이밖에 DevOps Expert Labs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evOps Expert Labs는 Google Codelabs 스타일로 만들었습니다. 이는 실습형 콘텐츠를 활용해 학습하는 환경을 제공하고요. 이로써 학습자가 집중해서 실습을 하나씩 완료하도록 지원합니다.
- 슬라이드와 동영상을 사용하는 수동적인 단방향 학습 방법과 달리, DevOps Expert Labs에서는 학습자가 단계별 미션을 수행하면서 DevOps 기술을 익히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학습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실제 DevOps 엔지니어의 업무 수행 방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DevOps Expert Labs는 난이도와 주제에 따라 다양한 러닝 패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학습자가 방향을 잃지 않고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 DevOps Expert Labs는 핸즈온 방식의 실습 중심 교육으로 진행돼, DevOps 팀의 엔지니어링 시행착오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학습자는 수강 과정에서 최신 DevOps 구축 레퍼런스와 인포그랩의 풍부한 DevOps 구축 경험, 노하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학습자는 DevOps 전문 코치가 이끄는 워크숍에 참여하면서 실전 경험을 빠르게 쌓을 수 있습니다.
- DevOps Expert Labs 콘텐츠는 SaaS 형으로 제공되기에, 워크숍 이후에도 온라인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Google Codelabs 웹사이트는 개발자를 위한 학습 리소스를 담았습니다. Codelabs는 다양한 주제와 기술 관련 실습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기술 역량을 향상하도록 돕습니다.
‘DevOps 기초’ 러닝 패스

‘DevOps 기초’ 러닝 패스에서는 DevOps 기본 지식과 DevOps 필수 도구 등을 다룹니다. DevOps Expert Labs에서는 워크숍을 시작하기 며칠 전에 DevOps 기초 러닝 패스의 콘텐츠를 워크숍 참가자(수강생)에게 미리 제공하는데요. 이는 중급 이상 수준인 ‘DevOps 플랫폼 구축’ 러닝 패스를 워크숍에서 다루기 전에 진행하는 절차이기도 합니다. 워크숍 참가자가 DevOps 기초 러닝 패스를 사전 학습하면 DevOps의 기본 지식과 도구 이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요. DevOps 기초 러닝 패스의 다음 단계인 DevOps 플랫폼 구축 러닝 패스의 내용을 더 쉽게 따라갈 수 있습니다.
DevOps 기초 러닝 패스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DevOps 플랫폼 구축’ 러닝 패스

‘DevOps 플랫폼 구축’ 러닝 패스는 중급 이상 과정인데요. 여기서는 DevOps 플랫폼 인프라와 DevOps 플랫폼 도구셋 구성 방법, DevOps 플랫폼 활용 방법, 옵저버빌리티(Observability) 구축 방법 등을 다룹니다. 앞서 언급한 ‘DevOps 기초’ 러닝 패스를 사전 학습한 뒤, 오프라인 워크숍에서 DevOps 플랫폼 구축 러닝 패스를 주제로 교육하는데요. 이 러닝 패스는 프로덕션 수준으로 준비된 환경, 코드, 설정을 사용하여 ‘제로베이스 상태에서 완성된 DevOps 플랫폼 환경 구축하기’를 목표로 구성했습니 다.
DevOps 플랫폼 구축 러닝 패스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DevOps 플랫폼 인프라 만들기
- 핸즈온 워크스페이스 구성
AWS Cloud9을 이용하여 DevOps Platform Labs의 실습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AWS Console에서 Cloud9을 구성하고, EBS 볼륨 조정 및 IAM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과 AWS CLI, Terraform, kubectl, Helm 등 도구를 설치하는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
- Terraform으로 AWS EC2 생성
Terraform 기본 정보와 이를 사용하여 AWS EC2 인스턴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AWS VPC, Subnet, Security Group, EC2 리소스를 생성하는 Terraform 코드 작성법, Terraform으로 User data 템플릿 파일을 사용하여 EC2 초기 구성 작업을 실행하는 방법, 변수 사용법, Terraform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
- Terraform으로 AWS EKS 생성
AWS EKS 기본 정보와 Terraform으로 EKS 클러스터를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을 학습합니다. Network, Security Group, EKS Cluster, EKS Add-ons, Node Group을 생성하는 Terraform 코드 작성법, kubeconfig 파일을 생성하고 EKS 클러스터에 접속하는 방법, OpenLens를 설치하는 방법 등을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