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한참지난 2020년 3월 CEO Sid는 블로그 글을 통해 DevOps 7가지 단계중 18가지 기능을 오픈소스화 한다고 발표 했습니다. GitLab이 무료로 제공하는 가치가 충분히 넓지만, 더 많은 범위를 오픈소스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고, DevOps 전체를 위한 단일 도구로서 GitLab 의 가능성을 좀더 넓이기 위한 목적으로 보입니다. GitLab을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기획하고 개발하고 빌드하고 배포하고 보안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능들이 점점 이전보다 좋아지고 있습니다.
2018년부터 도입된 사용자 기반 가격모델을 사용 했습니다. 코드 작성 및 기여를 하는 개발자레벨에 필요로 하는 기능들은 Core/무료로 제공, 매니져 급이 필요로 하는 기능은 Starter 등급으로 제공, 디렉터 레벨에서 필요한 기능은 Premium 등급으로 제공, 임원급에서 도입을 결정 내릴 만한 기능은 Ultimate등급으로 제공하는 모델입니다. 도입결정을 단순하게 생각 한다면 설명한 가격 모델을 따르면 됩니다.
그럼 Plan
, Create
, Verify
, Package
, Release
, Configure
, Depend
각 DevOps 단계별로 무료화된 기능을 확인해보겠습니다.
Plan - 프로젝트 관리 협업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협업 시작은 이슈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다음 기능을 통해 좀더 쉽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 연관 이슈 관리 : 관련 이슈를 연결 할 수 있습니다.
- 이슈 export 기능 : CSV 로 이슈를 export 하여, 기본 설정된 이메일로 첨부하여 전달 합니다.
- 이슈보드 포커스 모드 기능 : 포커스 모드를 통해 이슈보드의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 서비스 데스크 : 별도의 도구 없이 서비스데스크 이메일 설정을 통해 외부사용자의 요청사항이 피드백을 이슈로 생성하고, 커멘트로 이메일에 대한 회신을 할 수 있습니다.
Create - 코드를 통한 협업
개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웹 환경에서 간단한 개발을 진행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웹 IDE를 위한 웹터미널 : 웹 IDE는 브라우져에서 IDE를 열고, 간단한 코드 작업, 문서작업이 가능해 졌습니다. 웹 터미널 베타 기능으로 웹 IDE에 터미널을 열 수 있습니다.
- 웹 터미털을 통한 파일 싱크 : 웹 IDE에 포함되어 사전에 구성한 터미널 환경에서 코드 변경을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 디자인파일 관리기능 : 디자이너와 협헙할때 방생되는 와이어프래임, 다이어그램 등을 GitLab 이슈를 통해 관리 할 수 있습니다.
Verify - 품질을 통한 협업
머지 요청에 대한 코드 품질 체크 리포트 기능이 오픈소스화 되었습니다. 프로젝트의 코드 품질을 단순하게 높이는 방법은 더 일찍 품질 체크를 하는 것이죠. 머지 요청에서 코드 품질을 체크 할 수 있습니다.
- 코드 품질 체크 : Merge Request 에서 품질 체크 잡 실행하여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