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조직의 DevSecOps 성숙도를 체크 해보세요!
GitLab에서 만든 DevSecOps 자가진단 가이드는 DevSecOps 운영상의 성숙도를 파악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내는 데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DevSecOps 수행에 중요한 20가지 역량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가 진단을 진행하 시고, 뒤에 이어지는 정의를 참조하세요. 해당 역량이 왜 중요한지 확인하세요. 그리고 무엇을 더 고려하고 발전시켜야 할 지에 대해 저희와 같이 검토해보세요.
평가가 완료되면 각 역량 충족으로 얻는 이상적인 프로세스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의하기으로 연락 주시면 인포그랩에서 맞춤형으로 성숙도 진단지를 만들어서 진단하시는 것을 도와드립니다.
맞춤형 진단은 인포그랩에서 컨설팅시 제공하는 개발팀의 성숙도 체크를 참고하세요.
성숙도 체크리스트
이번 장에서는 DevSecOps를 운영하는 조직들이 일반적으로 갖추고있는 역량 및 성격 목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각 항목 별로 귀사의 점수를 0, 1, 3, 5 중 하나로 매겨보십시오.
점수표:
- 0 = 전혀 일어나지 않음
- 1 = 가끔 일어남
- 3 = 빈번히 일어남
- 5 = 조직 전반에 널리 일어남
속도
귀사의 개발 프로세스 내에서 보안 파트를 떠올려 보십시오. 그것이 론칭까지의 시간을 지연시키고 있습니까 아니면 가속시키고 있습니까?
항목 | 점수 | |
---|---|---|
1. | 애자일 프로세스를 사용중이며 워터폴 구조에서 대부분 탈피하였음 | |
2. | 작은 코드 수정이 필요할 때는 전체 프로젝트나 코드에 대한 변경 없이도 빠르고 안전하게 런치됨 | |
3. | 보안스캔을 기다리느라 프로젝트가 일시 중단되는 경우가 드물다 |
프로세스 효율성과 개발 초기 보안성 테스트
귀하의 팀에서 최근에 착수한 프로젝트들을 떠올려 보십시오.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의 어떤 시점에서 보안 테스트가 시작되었습니까? 사일로화된 개발과 보안 부서의 마찰로 인해 시간이 낭비되진 않았습니까? 팀 간의 비효율적인 업무 전달, 시스템 전반의 부족한 가시성, 미비한 계획과 배려 등으로 인해 프로젝트가 지연된 적은 없습니까?
항목 | 점수 | |
---|---|---|
4. | 보안 스캐닝이 개발자 워크플로우에 내제되어 코드가 다른 이에게 넘어가기 전에 취약점을 감지하고 보수함 | |
5. | 보안팀에게 전달되기 전에 전체 코드 최소 90%사 테스트 되었음 | |
6. | 보안팀이 스캔 결과를 리뷰하기 이전에 이미 다수의 취약점이 교정됨 | |
7. | 절대 다수의 취약점이 런칭 이전에 교정됨 |
협업 방법
보안팀이 개발 및 운영팀과 협업하는 게 얼마나 원활한지를 평가해보세요. 각자 분야에서 사용하는 툴에 대한 가시성과 투명성이 확보되어 있습니까?
항목 | 점수 | |
---|---|---|
8. | 개발팀과 보안팀 모두 코드 내의 취약점 위치, 작성자, 수정 진행 내역 및 결과를 쉽게 추적할 수 있음 | |
9. | 커뮤니케이션은 신속하고 투명하여, 저체 프로젝트팀 사이의 협업이 쉬움 | |
10. | 협업은 대게 어려운 수정 작업을 트러불 슈팅하기 위해, 혹은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진행됨 |
자동화 수준
DevOps 파이프라인 내의 보안 운영은 얼마나 자동화되어있습니까? 코드 수정은 어느 정도 비율로 취약성이 스캔 됩니까? 언제, 그리고 어떻게 테스트가 진행됩니까? 교정은 어떻게 진행합니까?
항목 | 점수 | |
---|---|---|
11. | 모든 코드 수정에 보안 스캔이 자동으로 적용됨 | |
12. | 스캔 결과가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작업 티켓 혹은 이슈를 생성하거나, 빌드를 중단시킴 | |
13. | 설정에 대한 예외 사항이 리포팅되고 설정 변경에 대한 평가 가능함 | |
14. | 중대한 수동 작업이 거의 필요하지 않 음 |
보안 문화
모든 팀들이 보안에 대한 책임을 지니고 있는지를 생각해 보십시오. 모든 팀들이 보안 교육, 가이드라인, 정책을 전달받았습니까? 개발자들이 보안성을 충족하는 코드를 생성하고 전달하기 위한 책임감과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까?
항목 | 점수 | |
---|---|---|
15. | 보안팀이 아닌 직원들도 보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음 | |
16. | 직원들이 테스트와 코드리뷰와 같은 보안 절차를 본인 일과에 포함시키기 위한 자율권이 있음 | |
17. | 직원들이 본인 작업의 보안성을 평가하고 유지하는데 책임을 지님 | |
18. | 전사적인 보안 정책이 분명하고 정기적으로 소통되고 있고 기본적으로 실시됨 |
표준화된 수행 절차
보안 기준이 자동적으로 집행되고 있습니까?
항목 | 점수 | |
---|---|---|
19. | 보안 전문가들이 확립한 보안 기준이 어디서나 자동적으로 적용되게 설정됨 | |
20. | 컴플라이언스가 정기적으로 평가되고 예외가 검토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