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n8n은 워크플로 자동화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중요한 업데이트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릴리즈(버전 1.117.2~1.120.3)는 보안 강화, 데이터베이스 지원 확대, AI 기능 개선 등 다양한 영역에서 눈에 띄는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엔터프라이즈 환경과 개발자 경험 모두를 고려한 실질적인 개선 사항들이 포함되어 있는 이번 업데이트는 MySQL/MariaDB 지원으로 데이터베이스 선택의 폭이 넓어졌고, 보안 취약점 패치와 함께 커뮤니티 노드 설치 프로세스가 더욱 견고해졌습니다. 또한 AI 워크플로 빌더의 안정화와 다양한 인증 체계 개선까지 이루어졌습니다.
한 눈에 보는 11월 릴리즈 하이라이트
- 보안·안정성 강화: 커뮤니티 노드 설치 시 패키 지 버전 검증을 강화하여 보안성을 높였습니다. 특히 expr-eval 라이브러리의 취약점(CVE-2025-12735)을 패치했으며, Python 러너의 보안 제한을 강화하여 안전한 실행 환경을 제공합니다.
- 플랫폼·인증 체계 고도화: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에서 OAuth를 지원하고, SAML JIT(Just-In-Time) 프로비저닝을 통한 역할 부여, OIDC 역할 동기화 등 엔터프라이즈급 인증 기능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WWW-Authenticate 헤더 지원으로 API 인증 흐름도 개선되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지원 확대: 이제 MySQL과 MariaDB를 공식적으로 지원하여 기존 PostgreSQL 외에 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n8n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변수 관리와 소스 컨트롤 동기화 기능도 함께 개선되어 팀 협업이 한층 수월해졌습니다.
- 에디터 사용성 개선: 라이선스 활성화 모달의 동작이 안정화되었고, 로그 패널, 툴팁, JSON 프리뷰 등 에디터 곳곳의 사용자 경험이 개선되었습니다. 텔레메트리 데이터 크기 제한 기능도 추가되어 성능 최적화에 기여합니다.
- AI 빌더 및 노드 확장: AI Builder가 이제 노드의 특정 버전을 검색하고 추가·업데이트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과도한 상태 오류가 감소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Guardrails 노드가 새롭게 추가되었고, Bitbucket Trigger와 OpenAI Responses API 등 다양한 노드가 확장되었습니다.
11월 핵심 릴리즈 심층 분석
이번 업데이트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핵심 기능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AI 워크플로 빌더: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까지 확대
AI 워크플로 빌더는 n8n의 혁신적인 기능 중 하나로, 자연어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실행 가능한 워크플로를 생성해줍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Enterprise Cloud 고객들도 이 강력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Enterprise Cloud 사용자에게는 매월 1,000 크레딧이 제공되며, 이를 활용해 복잡한 워크플로도 빠르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AI 워크플로 빌더는 버전 1.115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특히 버전 1.117.1 이상에서는 안정성이 크게 개선되어 프로덕션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워크플로 설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주며, 개발자가 아닌 비즈니스 사용자도 쉽게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확장: MySQL/MariaDB 공식 지원
n8n이 이제 MySQL과 MariaDB를 공식적으로 지원하게 되면서, 데 이터베이스 선택의 자유도가 크게 높아졌습니다. 기존에 PostgreSQL만 지원되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진전입니다.
이는 특히 기존에 MySQL이나 MariaDB를 사용하고 있던 조직에게 큰 이점이 됩니다.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없이 기존 인프라에 n8n을 통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새롭게 MySQL/MariaDB로 전환하시는 경우에는 반드시 마이그레이션 테스트를 충분히 수행하고, 연결 안정성을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관련 이슈는 #21525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보안·거버넌스 체계 전면 강화
보안은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여러 계층에 걸쳐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
- 커뮤니티 노드 패키지 검증: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노드를 설치할 때 패키지 버전을 엄격하게 검증하여, 악의적이거나 호환되지 않는 패키지의 설치를 방지합니다. 이는 공급망 보안(Supply Chain Security)을 강화하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21886
- 취약점 긴급 패치: expr-eval 라이브러리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CVE-2025-12735)이 신속하게 패치되었습니다. 이 취약점은 표현식 평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험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모든 사용자는 가능한 한 빨리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권장합니다. #21862
- Python 러너 보안 강화: 네이티브 Python 코드를 실행하는 러너에 보안 제한이 추가되어, 악의적인 코드 실행을 차단하고 샌드박스 환경에서 안전하게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1263
4) 엔터프라이즈급 인증·SSO 및 API 확장
대규모 조직에서 n8n을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인증 체계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는 이 부분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 MCP 서버 OAuth 지원: Model Context Protocol 서버에서 이제 OAuth 인증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외부 AI 모델이나 서비스와의 안전한 연동이 가능해졌습니다. #21469
- SAML 및 OIDC 통합 강화: SAML JIT(Just-In-Time) 프로비저닝을 통한 자동 역할 부여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가 처음 로그인할 때 자동으로 적절한 권한이 할당됩니다. OIDC(OpenID Connect) 역할 동기화도 개선되어 ID 제공자(IdP)와의 역할 매핑이 더욱 정확해졌습니다.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허용 설정과 EULA 동의 플로우도 개선되어 전체적인 사용자 온보딩 경험이 향상되었습니다.
- API 인증 헤더 지원: /mcp-server/http 엔드포인트에서 표준 WWW-Authenticate 헤더를 반환하여, API 클라이언트가 인증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1686
5) 에디터 및 운영 환경 사용성 대폭 개선
일상적으로 n8n을 사용하는 개발자와 운영자를 위한 다양한 개선 사항이 포함되었습니다:
- 라이선스 및 UI 안정화: 라이선스 활성화 모달의 동작이 개선되어 EULA 동의 과정이 더욱 명확해졌습니다. 로그 뷰어의 스크롤 기능, 입력 데이터 프리뷰, 툴팁 표시 등 세세한 부분까지 안정성이 향상되었습니다.
- 협업 기능 강화: 프로젝트 변수 관리 UI가 개선되어 팀원들과 변수를 더 쉽게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스 컨트롤(Git) 동기화 기능도 개선되어 워크플로 버전 관리가 한층 수월해졌으며, 데이터 테이블의 응답성도 향상되어 대용량 데이터를 다룰 때 성능이 개선되었습니다.
- 배포 안정성 향상: Git Node에서 훅(hooks)이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CI/CD 파이프라인에서 예기치 않은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특히 자동화된 배포 환경에서 워크플로의 예측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21797
세부 기능 개선 사항
핵심 기능 외에도 플랫폼 전반에 걸쳐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졌습니다. 각 영역별로 주요 변경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Core 플랫폼 개선
- 인증 및 권한 관리: MCP OAuth 지원, SAML JIT 프로비저닝, OIDC 역할 동기화가 추가되었습니다. CORS 정책 설정이 더욱 유연해졌으며, JIT 설정을 내보내기하여 백업하고 다른 환경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워크플로 관리: 워크플로 엔티티에 버전 카운터가 추가되어 변경 이력을 더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습니다. 실행 힌트 기능이 추가되어 워크플로 디버깅이 쉬워졌으며, distroless 러너 이미지가 도입되어 컨테이너 크기가 줄어들고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
- 분석 및 인사이트: 인사이트 대시보드에서 기간 처리 로직이 개선되었고, 사용자 정의 날짜 범위 옵션이 추가되어 원하는 기간의 데이터를 더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운영 효율성: 프로젝트 변수의 소스 컨트롤 동기화가 강화되어 팀 간 협업이 원활해졌으며, 전반적인 운영 안정성이 향상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