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9월 진행된 n8n 최신 버전의 주요 업데이트와 개선사항을 소개합니다. 이번 버전에서의 핵심 기능, 버그 수정 및 성능 향상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데이터 테이블 기본 포함 및 UI 필터 개선으로 데이터 관리가 향상되었고, Request-Response 실행 방식과 재시도 API로 워크플로 제어 기능 강화까지 다양한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지금 확인해 보세요.

한눈에 보는 9월 릴리즈 하이라이트

  • 데이터 테이블이 기본 기능으로 포함되고 UI 필터와 캐시가 개선되어 전반적인 데이터 관리 경험이 향상되었습니다
  • 워크플로 엔진에 Request-Response 실행 방식이 추가되고 실행 재시도를 위한 공개 API가 제공되어 Core 실행의 안정성과 제어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 Editor에 뷰포트 동기화 기능이 추가되고 워크플로우 Diff의 가독성이 개선되었으며, 노드 인기도를 검색 순위에 반영하는 등 사용자 경험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AI 노드들이 스트리밍 시 컨텍스트 윈도 길이를 적절히 관리하고, 비텍스트 청크를 무시하며, Gemini 모델에서 Thinking 설정 등 다양한 옵션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기능 개선

이제 데이터 테이블이 기본 기능으로 포함되고 필터링과 생성 인터페이스가 개선되어 데이터 작업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워크플로 엔진에는 Request-Response 방식과 함께 재시도 및 상태 확인을 위한 API가 추가되어 실행 과정에 대한 통제력이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AI 노드들의 기능 확장과 OpenAI 및 Gemini 모델 옵션 다양화로 멀티모달 콘텐츠 처리와 스트리밍 기능의 실용성이 높아졌습니다.

Editor

  • 대용량 데이터 작업이 쉬워졌습니다 - 데이터 테이블에 UI 필터 기능이 추가되고 프로젝트별 인사이트 필터링이 가능해졌습니다[10][11]
  • 워크플로우 변경 사항을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뷰포트 동기화 기능이 추가되고 자바스크립트 코드와 스티키 노트의 비교 형식이 개선되었습니다[12][13]
  •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이 향상되었습니다 - 사이드바가 기본적으로 접히고, 인기도에 따른 노드 검색 순위가 적용되며, 리소스 찾기에서 데이터 테이블을 바로 만들 수 있습니다[14][15][16]
  • 워크플로우 제작이 더 편리해졌습니다 - Python 코드 액션이 추가되고, 워크플로우 실행 시 이름이 자동으로 제안되며, 의존성 파라미터를 더 잘 지원합니다[17][18][19]

Core

  •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이 간결해졌습니다 - 워크플로우 엔진에 Request-Response 로직이 추가되어 상호작용하는 플로우를 더 쉽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20]
  • 워크플로우 실행 관리가 더 강력해졌습니다 - 실행 재시도를 위한 공개 API가 추가되고, 진행 중인 실행 상태 조회와 취소 상태 필터링이 가능해졌습니다[21][22][23]
  • 기업 환경에서의 적합성이 향상되었습니다 - HTTPS 리포지토리 연결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역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로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24][25]
  • 데이터 테이블의 안정성이 강화되었습니다 - 트랜잭션 처리 방식이 개선되고 데이터 삽입, 갱신, 업서트 작업이 더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26]

AI

  • AI Agent 노드의 스트리밍 기능이 더 똑똑해졌습니다 - 컨텍스트 윈도우 길이를 적절히 관리하고 텍스트가 아닌 콘텐츠를 자동으로 처리합니다[27][28]
  • AI 모델 옵션이 다양해졌습니다 - Gemini 모델에서 Thinking 설정을 지원하고, Nano Banana 이미지 편집 모델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29][30][31]
  • OpenAI 노드가 더 유연해졌습니다 - 커스텀 헤더를 설정할 수 있고 파일 연산 스트리밍을 지원하여 성능과 활용도가 높아졌습니다[32][33]

기타 노드·도구

  •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노드들이 개선되었습니다 - Git 노드의 브랜치 지원, Redis의 TLS 검증 비활성화 옵션, MongoDB 드라이버 정보 확인 기능 등이 추가되었습니다[34][35][36]
  • 성능 평가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 새로운 평가 프레임워크가 도입되었고 데이터 테이블을 평가 데이터 소스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37][38]

버그 수정

Editor는 입력 안정성과 탐색 기능 향상으로 대용량 데이터와 여러 탭을 동시에 사용할 때 발생하던 지연 현상과 UI 오류가 획기적으로 감소했습니다. Core 엔진은 스케일링 모드 장애 복구 기능 강화, 큐 락 설정 최적화, WebSocket 헤더 처리 개선을 통해 시스템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주요 외부 서비스 연동 노드와 AI 노드의 예외 처리 로직 개선 및 권한 범위 조정으로 실제 업무 환경에서의 장애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Editor

  • 인터페이스 안정성 개선: 대용량 텍스트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SQL/JSON 문법 강조 기능을 최적화했으며, 툴팁 버그를 수정하고 노드 디테일 뷰 실행 옵션을 재구성했습니다[39][40][41][42]
  • 사용자 경험 개선: 채팅 세션 사이에도 탭 상태가 유지되고, 알림창 위치가 최적화되었으며, 멤버십 테이블의 삭제 기능이 다시 추가되었습니다[43][44][45]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성능 향상: 테이블 목록의 페이지 나누기 기능을 개선하고 워크플로 선택기의 검색 속도를 최적화했습니다[46][47]

Core

  • 시스템 안정성 향상: 스케일링 모드에서 장애 발생 시 복구 체계를 개선하고, 큐 락 설정을 최적화했으며, WebSocket 헤더 관리 방식을 향상시켰습니다[48][49][50]
  • 운영 신뢰도 개선: 외부 시크릿 관리 메커니즘을 개선하고, 태그 동기화 프로세스를 정비했으며, 인사이트 계산 시 오버플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했습니다[51][52][53]
  • 설정 및 호환성 개선: OIDC 경로 설정을 최적화하고, 웹훅 요청 메서드를 자동으로 감지하며, 대기 노드에서 0초 설정을 지원하도록 했습니다[54][55][56]

AI·노드

  • AI 기능 안정성 강화: AI Agent에서 발생하던 출력 중복 래핑 문제를 해결하고 코드 툴에서 브라우저 로그 캡처 기능을 개선했습니다[57][58]
  • 외부 서비스 연동 개선: Gemini의 파일 스트림 처리 방식을 최적화하고, Gmail 트리거에서 자체 메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Slack 검색 범위가 확장되었습니다[59][60][61]
  • 주요 서비스 노드 개선: Notion, Github, Salesforce, Telegram 등 많이 사용되는 플랫폼 연동 노드의 성능과 안정성이 향상되었습니다[62][63][64][65]

퍼포먼스 개선

대형 워크플로와 대용량 테이블에서도 사용성이 향상되었습니다. 엔진 경로 계산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테이블 캐싱 방식을 개선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OpenAI 파일 스트리밍이나 패키지 스캐너와 같은 파일 및 네트워크 I/O 처리 방식을 효율화하여 처리 속도를 높였습니다. Python 러너의 로그 관리 개선으로 프로덕션 환경에서의 시스템 부하도 크게 줄었습니다.

  • 네이티브 Python 환경에서 프로덕션 태스크의 불필요한 브라우저 로깅을 제거하여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켰습니다[66]
  • 워크플로 연결 인덱스 계산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엔진의 경로 분석 효율성을 향상시켰습니다[67]
  • 데이터 테이블 크기 정보 캐싱 기간을 확장하고 UI 차단 현상을 해소하여 대용량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개선했습니다[68][69]
  • OpenAI 파일 처리에 스트림 방식을 적용하고 패키지 스캐너를 최적화하여 입출력 작업 효율을 증대시켰습니다[70][71]

팀이 주목한 변화 Top 5

  1. 데이터 테이블의 기본 활성화 기능과 직관적인 UI 필터 추가로 데이터 기반 워크플로 구축 시간이 단축되었습니다[72][73]
  2. 새로운 Request-Response 실행 방식 덕분에 외부 시스템과의 동기식 상호작용이 더욱 간편해졌습니다[74]
  3. 실행 재시도 기능과 상태 조회 API가 공개되어 운영의 자동화와 모니터링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75][76]
  4. Editor의 검색 기능이 노드 인기도를 반영하고 사이드바가 기본적으로 접혀있어 사용자 탐색 경험이 개선되었습니다[77][78]
  5. AI 노드의 컨텍스트 처리와 스트리밍 안정성이 강화되었으며 Gemini에 새로운 옵션이 추가되었습니다[79][80]

마이그레이션·운영 체크리스트

  • 데이터 테이블 기반 워크플로우에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동시 데이터 업데이트 시 안정성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 쓰기 작업에서 개선 효과를 확인해보세요[81]
  • 외부 시스템과 통신하는 워크플로우는 새로운 Request-Response 방식 적용을 고려해보세요. 기존의 폴링이나 웹훅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 좋습니다[82]
  • 워크플로우 실행 자동화를 위해 재시도 기능과 상태 확인 API를 활용하세요. 이제 재처리 전략을 코드 레벨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83][84]
  • 에디터 환경에서는 개선된 Diff 뷰와 뷰포트 동기화 기능을 활용하여 코드 리뷰 가이드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85]

자세한 내용은 아래 릴리즈 노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는 n8n Release Note의 영문 원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재구성한 것으로 인포그랩은 n8n의 한국 공식 파트너사입니다.

  • 1.109.0 릴리즈 노트[1]
  • 1.110.0 릴리즈 노트[2]
  • 1.111.0 릴리즈 노트[3]
  • 1.112.0 릴리즈 노트[4]
  • 1.113.0 릴리즈 노트[5]
  • 1.113.1 패치 노트[6]

n8n 구축부터 성공적인 워크플로까지 n8n 공식 파트너사 인포그랩과 함께하세요! 지금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