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배경 이미지

하이라이트

GitLab 18.3 릴리즈 노트 : CI/CD job 토큰의 세분화된 권한, GitLab Duo 셀프 호스팅 코드 리뷰 베타 지원

GitLab 18.3 버전에서는 직접 전송 기반 마이그레이션 GA 버전, CI/CD job 토큰의 세분화된 권한 기능, 컴플라이언스 프레임워크 제어 위반 표시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아울러 GitLab Duo 셀프 호스팅에 코드 리뷰, 자체 보유 모델 사용, 하이브리드 모델 선택 지원을 추가했습니다.

GitLab18.3릴리즈노트패치

자세히 보기

"협업" 태그와 연관된 11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MR로 협업하기 2편: Merge Request 만들기MR로 협업하기 2편: Merge Request 만들기

지난 'MergeRequest 왜 사용해야 할까?'에서는 협업을 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MR(MergeRequest)의 이점을 살펴보고 MR을 사용해야하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MR 사용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Michael
Michael | Software Engineer
MR로 협업하기 1편: Merge Request 왜 사용해야 할까?MR로 협업하기 1편: Merge Request 왜 사용해야 할까?

프로젝트 협업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우리의 삶에서 인터넷을 떼어 놓을 수 없듯이 어떤 서비스를 하든 소프트웨어가 빠지는 곳이 없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사이즈는 거대해졌고, 기술과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다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사람들이 협업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많은 사람들이 협업을 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여러 사람들과 협업을 하다보면 다양한 문제를 마주치게 됩니다.

Michael
Michael | Software Engineer
인포레터에서 최신 DevOps 트렌드를 격주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