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배경 이미지

하이라이트

GitLab 보안 패치 릴리즈 18.5.2, 18.4.4, 18.3.6

GitLab의 18.5.2, 18.4.4, 18.3.6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중요한 버그 및 보안 수정 사항이 포함되어 있어 모든 셀프 관리형 인스턴스의 즉시 업그레이드를 권장합니다. 주요 보안 취약점으로는 k8s 프록시의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잘못된 권한 부여, GraphQL 구독의 정보 공개 등이 있으며, 각 취약점에 대한 상세 정보는 30일 후 공개됩니다. 업그레이드 시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에 주의해야 하며, 무중단 업그레이드 절차를 따르면 다운타임 없이 패치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GitLab패치보안릴리즈깃랩

자세히 보기

포스트

HOME/BLOG
2023년에 주목할 DevOps 트렌드 5가지2023년에 주목할 DevOps 트렌드 5가지

이 글에서는 올해 DevOps 트렌드 가운데 5가지를 골라 살펴봅니다. 그동안 IT업계 전문가·기업, 관련 매체 등이 2023년 DevOps 트렌드를 다양하게 전망했는데요. 이 글에서는 여러 전망 가운데 3회 이상 지목된 트렌드 5개를 선정했고요. 해당 트렌드의 개념과 기능, 장점, 시장 전망, 성장요인 등을 들여다봤습니다. 2023년 DevOps 트렌드가 새롭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그러나 반복해서 언급되는 개념을 따로 살펴보면 ‘업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트렌드’를 쉽게 파악하는 데 도움될 수 있죠.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Grace
Grace | Technical Writer
쿠버네티스를 해킹하는 엔지니어를 위한 안내서쿠버네티스를 해킹하는 엔지니어를 위한 안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Kubernetes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쿠버네티스를 해킹하여 secret 리소스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찾는 여러 가지 방법을 알아봅니다. 특히, etcd와 Pod를 해킹하는 실습으로 쿠버네티스 보안의 중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Jeff
Jeff | DevOps Engineer
GitLab CI/CD 캐시: 파이프라인 속도 향상하기GitLab CI/CD 캐시: 파이프라인 속도 향상하기

GitLab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코드 빌드, 테스트 및 배포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CI/CD 파이프라인입니다. 그러나 프로젝트가 커지면 Job 수, 단계 수, 스크립트 및 의존성 수 등 많은 요소로 인해 파이프라인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느린 파이프라인은 개발 프로세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시장 진입 시간이 증가하고 귀중한 자원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Jason
Jason | DevOps Architect
React App 테스트 자동화 with GitLabReact App 테스트 자동화 with GitLab

React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입니다. 이 튜토리얼에서는 새로운 리액트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GitLab에서 CI 프로세스의 일부로 유닛 테스트를 실행하고 테스트 결과와 코드를 파이프라인에 출력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Fabbro
Fabbro | Software Engineer
GitLab Value Stream Analytic 활용하기GitLab Value Stream Analytic 활용하기

오늘날 모든 회사는 소프트웨어 회사이므로 혁신 및 제공 수준이 수익 창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성공하기 위해 기업은 놀라운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최신 기술을 따라잡고, 고객이 요구하는 속도로 가치를 제공하고, 중단이나 보안 위반에 대해 무관용으로 모든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여기서 Value Stream Management(VSM)이 시작됩니다.

Rei
Rei | DevOps Engineer
MR로 협업하기 4편: Merge Request의 장점MR로 협업하기 4편: Merge Request의 장점

지난 MergeRequest로 개발 협업하기를 끝으로 디자이너, 개발자, PM이 서로 커뮤니케이션하고 협업하는 과정을 배워봤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뭐가 좋은지 아직 감이 안 잡히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래서 역할별로 MR(Merge Request)의 장점을 총정리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Michael
Michael | Software Engineer
Terraform 개념 잡기Terraform 개념 잡기

클라우드 시대가 되면서 인프라 엔지니어는 서버실에서 벗어나게 되었습니다. AWS 콘솔에서 클릭 몇 번으로 서버를 배포하고, 명령어 한 줄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인프라를 더 빠르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이 등장합니다.

Jeff
Jeff | DevOps Engineer
MR로 협업하기 3편: Merge Request로 개발 협업하기MR로 협업하기 3편: Merge Request로 개발 협업하기

지난 MergeRequest 만들기 포스트에서는 PM(Project Manager)이 이슈를 생성하고 디자이너와 협업하며 MR를 생성하는 부분까지 진행하였습니다.

이번엔 MR(MergeRequest)로 개발자와 협업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Michael
Michael | Software Engineer
Docker 이미지 안전하게 만들기Docker 이미지 안전하게 만들기

애플리케이션을 Docker 이미지로 만들고, 배포해본 경험 다들 있으신가요? 무거운 이미지를 베이스 이미지로 사용해 한 번 다운받는 데 무척 오랜 시간이 걸리거나, 민감한 데이터를 포함하게 되어 보안상 문제가 생겼던 경험도 다들 있으실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더 가볍고, 안전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Jeff
Jeff | DevOps Engineer
인포레터에서 최신 DevOps 트렌드를 격주로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