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DevOps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기술 지식은 광범위합니다. 워터풀, 애자일과 같은 개발 방법론은 물론이고요.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와 빌드 시스템도 이해해야 하죠. 아울러 버전 관리, Infrastructure as Code(IaC), 구성 관리 방법도 익혀야 하고요. CI/CD 방법을 숙지할 필요성은 이루 말할 것도 없습니다. 또 IT 하드웨어와 인프라 영역 이해, 각종 보안 조치 실행 능력, Docker와 Kubernetes 활용 역량, 클라우드 지식, 옵저버빌리티 역량도 필요하죠. 많은 DevOps 엔지니어가 관련 지식과 실무 역량을 쌓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합니다.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제조, 금융, IT 등 각 분야의 기업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에 빠르게 대처하고, 비즈니스 경쟁력을 높이고자 조직적으로 DevOps 역량을 강화하려 하죠. 관련 교육 수요도 상당합니다. 인포그랩은 이러한 기업의 수요에 맞춘 전문 DevOps 학습 솔루션을 운영하는데요. 바로 ‘expertLABS’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외 DevOps 학습 플랫폼 현황과 특징, 장단점을 살펴보고요. expertLABS의 DevOps 학습 문제 해결 방식을 소개하겠습니다.
국내외 DevOps 학습 플랫폼 현황과 특징
오늘날 국내외 DevOps 학습 플랫폼은 다양합니다. 먼저 인프런, 패스트 캠퍼스, 유데미, 코세라, 링크드인 러닝, 코드클라우드 등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있고요. AWS, 마이크로소프트, HPE, Red Hat 등 IT 기업도 DevOps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 글에서는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중심으로 각 DevOps 학습 플랫폼의 현황과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인프런(Inflearn)

인프런은 AWS, Docker, Kubernetes, 리눅스, CI/CD, DevOps, 네트워크, Terraform, 마이크로서비스, Java, Azure 등을 주제로 DevOps·인프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DevOps·인프라 학습 콘텐츠는 총 165개고요(2024년 10월 2일 기준). 입문 26개, 초급 117개, 중급 이상 22개로, 초급 강의가 대부분입니다.
아울러 인프런은 ‘더 나은 학습을 위한 가이드’라는 로드맵을 제안하는데요. 특정 주제로 여러 개별 코스를 모아 로드맵으로 제시합니다. 인프런은 ‘DevOps’를 키워드로 로드맵 총 17개(2024년 10월 2일 기준)를 제공하는데요. 17개 중 11개가 초급 코스고, 6개는 입문 코스입니다. 로드맵도 입문~초급 중심이고, 중급 이상은 없습니다. 한편, 인프런 강의 대부분은 유료(138개)지만, 무료 강의(27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패스트 캠퍼스(Fast campus)

패스트 캠퍼스는 리눅스, GitOps, Terraform, AWS, Docker, Kubernetes, CI/CD, 마이크로서비스 등을 주제로 DevOps·인프라 학습 콘텐츠를 선보입니다. 이 서비스는 다양한 대주제와 강의로 구성된 하나의 패키지를 상품으로 각각 판매하는데요. DevOps·인프라 패키지는 총 14개입니다(2024년 10월 2일 기준).
패키지 강의 특성상 하나의 패키지 안에 난이도가 다양한데요. ‘초급-실전’, ‘입문-심화’, ‘입문-초급-실전-심화’, ‘초급-중급’ 이런 식으로 여러 난이도를 아우릅니다. 패키지별 강의 분량은 15~130시간으로 길고요. 한 패키지에서 주제별로 강사가 다를 때도 있습니다.
3. 유데미(Udemy)

유데미는 DevOps, Jenkins, Docker, Kubernetes, AWS, Terraform, Java, Git, Ansible, SonarQube 등을 주제로 DevOps 학습 콘텐츠를 공급합니다. DevOps 학습 콘텐츠는 총 282개고요(2024년 10월 2일 기준). 난이도는 모든 수준 128개, 초급 81개, 중급 67개, 전문가 6개로 골고루 분포됐습니다.
유데미에서는 영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한국어 등 다양한 언어로 강의를 제공하고요. 다국어 자막도 지원합니다. DevOps 학습 콘텐츠 가운데 영어 비중이 가장 크고요(2024년 10월 2일 기준 202개). 한국어 강의는 4개입니다. 그래도 여러 강의에서 한국어 자막을 지원하고요. 유데미에는 유료 강의(263개)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무료 강의(19개)도 일부 있습니다.
4. 코세라(Coursera)

코세라는 DevOps, 클라우드 컴퓨팅, CI/CD, Kubernetes,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Docker, 리눅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AWS 등을 주제로 DevOps 학습 과정을 운영합니다. DevOps 학습 과정은 총 300개고요(2024년 10월 2일 기준). 초급 157개, 중급 128개, 고등 14개, 믹스 1개로, 초급~중급 과정이 주를 이룹니다. 코세라도 유데미처럼 다국어 강의와 자막을 제공하고요. 한국어 강의와 자막도 지원합니다.
코세라는 다른 온라인 교육 서비스와 비교해 학습 과정이 더 세분화됐는데요. 일반 강좌가 대부분(180개)이지만, 특화 과정, 프로젝트, 전문 자격증, 안내 프로젝트, MasterTrack 자격증*, 학위 과정(학·석사)도 있습니다. 교육자도 산학을 두루 아우르는데요. 구글 클라우드, IBM, AWS, 마이크로소프트, 리눅스 재단, Atlassian, 듀크대, KodeKloud 등 굴지의 IT 기업과 명문대, 기술 교육 서비스에서 코세라에 DevOps 학습 과정을 제공하죠.
*석사 학위에 도움이 되는 강의를 듣고, 경력 자격 증명을 취득하는 과정
5. 링크드인 러닝(LinkedIn Learning)

링크드인 러닝은 AWS, Azure DevOps, CI/CD, Kubernetes, IaC, 마이크로서비스, 인시던트 관리, 옵저버빌리티 등을 주제로 DevOps 학습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DevOps 학습 콘텐츠는 총 275개고요(2024년 10월 2일 기준). 난이도는 초급 64개, 중급 165개, 고급 46개로, 중급 강의 비중이 가장 큽니다. 링크드인 러닝도 한국어를 비롯한 다국어 자막을 제공하고요. 강의 원고도 보여줍니다.
링크드인 러닝의 학습 콘텐츠는 코스, 비디오, 오디오, 러닝 패스로 나뉘는데요. 러닝 패스는 인프런의 로드맵처럼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개별 코스를 한데 모아 제공합니다. PagerDuty와 링크드인의 ‘DevOps 프로페셔널 자격증’ 과정처럼 모든 코스를 수강한 뒤, 시험을 통과하면 전문가 자격증을 주는 러닝 패스도 있죠. 또 링크드인 러닝에서는 GitHub Codespace와 GitHub Exercise File로 핸즈온 실습을 지원하기도 합니다.
국내외 DevOps 학습 플랫폼 장단점

장점
위에서 소개한 DevOps 학습 플랫폼에는 다음 장점이 있습니다. 이는 플랫폼별 장점을 취합한 내용입니다.
- 플랫폼에 따라 입문~초급, 중급 학습 콘텐츠에 각각 특화됐습니다.
- 요즘 수요가 높은 최신 DevOps 기술 스택을 학습 콘텐츠로 다수 선보였습니다.
- 학습 계획을 잘 설계하도록 가이드를 친절히 제시합니다.
- 무료 콘텐츠도 공급해 수강생의 진입 문턱을 낮춥니다.
- 글로벌 플랫폼에서는 한국어도 지원해 국내 수강생이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 풀을 넓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