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GitLab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신다면, 이 글을 보고 GitLab Wiki를 시작해 보시면 어떨까요? Wiki는 GitLab 인스턴스 안에서 직접 문서를 만들고, 정리하며, 공유하는 도구입니다. 이는 프로젝트와 가까이 있으며, 프로젝트 활동을 쉽게 녹일 수 있는 문서이기도 하죠. Wiki를 잘 활용하면, 팀이 원활히 협업하고, 지식 관리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DevOps 실무자가 Wik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GitLab Wiki 장점

GitLab Wiki는 프로젝트와 관련된 문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이는 GitLab 프로젝트와 그룹 수준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고요. Markdown, RDoc, AsciiDoc, Org 등 여러 형식을 지원하죠. 이로써 정보를 보기 쉽게 표시합니다.
Wiki는 팀이 GitLab의 단일 플랫폼 안에서 애자일 계획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협업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울러 중요한 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데 유용하죠. 아래는 GitLab 프로덕트 매니저인 Matthew Macfarlane이 설명한 Wiki의 장점과 제 의견을 아우른 내용입니다.
-
중앙 집중식 정보 저장소
Wiki는 모든 지식을 저장하는 단일 진실 공급원으로 역할을 합니다. Wiki를 사용하면, 외부 솔루션을 찾기 위해 플랫폼을 떠나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정보 접근과 협업 편의성
Wiki로 문서를 작업할 때, GitLab의 이슈, Merge request(MR)에 쉽게 접근해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링크와 미리보기로 팀에서 편리하게 협업할 수 있습니다.
-
버전 제어
Wiki는 GitLab의 버전 제어 시스템에 따라 작동됩니다. 이는 모든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필요하면 이전 버전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문서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템플릿
템플릿을 사용해 여러 페이지의 콘텐츠를 일관된 형식과 스타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문서의 전문성과 가독성을 향상합니다. 템플릿은 재사용할 수 있어 문서 작성 시간을 줄여줍니다.
Wiki 단계별 활용 가이드
어떻게 하면 Wiki의 장점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Wiki 사용법을 단계별로 실습하며, 효과적인 Wiki 활용 노하우를 소개하겠습니다.
Wiki 첫 페이지 생성
Wiki 활용의 첫걸음은 페이지 생성에서 시 작합니다. 다음 순서대로 작업하세요.
-
GitLab Project 혹은 Group > Plan > Wiki 메뉴에 진입합니다.
-
Create your first page 버튼을 눌러 첫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
Title, Path, Content, Commit message 항목에 내용을 입력합니다.
- Title: 문서 제목을 입력합니다. 문서 작성이 완료되면 오른쪽 사이드바에 표시됩니다.
- Path: 문서 경로를 입력합니다.
/
로 문서 위치를 구분합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문서 제목에 기반해 자동 입력됩니다. 아래 Generate page path from title 체크박스를 해제하면, 경로를 수동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의로 변경한 모든 경로를 다 기억하기 어려우므로 문서 제목에 기반한 경로를 유지하는 걸 추천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Wiki 페이지의 첫 번째 경로가 ‘home’으로 고정됐기에 첫 번째 페이지의 경로는 반드시 ‘home’으로 입력합니다. - Content: 문서 내용을 입력합니다.
- Commit message: 커밋 메시지를 입력합니다.
-
작성을 완료하면, Create Page 버튼을 눌러 페이지를 생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