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포그랩에서 DevOps 엔지니어로 일하는 Chris입니다. 요즘 IT 업계에서는 ‘인공지능(AI)’만큼 센세이셔널한 키워드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이 기술이 핫 이슈입니다. 특히 생성형 AI가 비약적인 속도로 발전하면서 이제 AI를 뺀 일상을 상상할 수 없는 시대가 됐는데요. 5~10년 전만 해도 우리는 구글이나 네이버에서 직접 검색하며 궁금증을 해소했습니다. 요즘은 AI에 질문만 하면 내가 원하는 정보를 바로 답변받을 수 있죠. 심지어 AI는 ‘내가 알고 싶어할 법한 정보’까지 예측하고, 답변도 바로 찾아줍니다.

AI가 떠먹여 주는 건 이뿐만이 아닙니다. 소위 개발자의 영역으로 불리던 ‘코딩’, ‘설계’ 업무에도 AI가 들어오기 시작했죠. 요즘 개발자 사이에는 이러한 공감대가 형성되기도 합니다. ‘ChatGPT가 있으면 개발자는 필요 없다’, ‘Perplexity가 모든 일을 해준다.’ 개발자든, 비개발자든 “AI가 코딩까지 하니까 이제 개발자가 없어지는 거 아냐?”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발자에서 DevOps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전환했는데요. 이런 이야기를 듣노라면 “진짜 개발자가 없어지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전 AI가 개발자를 대체할 거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AI가 발전하면서 개발자의 필요성은 부각될 걸로 예상합니다. AI가 개발자를 완전히 대체하는 건 아니며, 개발자 역할은 변화해 AI와 함께 성장하는 형태가 될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AI 시대에 개발자는 어떻게 될까?”를 주제로 1990년대~2020년대 개발자 풍경을 스토리텔링하고, 제가 생각하는 개발자 역할을 논하려 합니다.
IT 강국! 대한민국!
IT는 다른 산업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급속도로 발전한 보기 드문 산업입니다. 특히 대한민국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개발도상국이었지만 이제 선진국이자 IT 강국으로 빠르게 도약하며 세계적 기술 경쟁력을 갖췄습니다. 개인에게 컴퓨터와 인터넷이 본격적으로 보급된 시기는 1990년대인데요. 이때부터 IT는 우리 일상에 녹아들기 시작했습니다.
1990년대~2020년대까지 30년의 세월은 강산이 세 번 변할 만큼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입니다. 이 기간에 글로벌 경제와 산업의 근간은 송두리째 흔들리기도 했는데요. IT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술이 가파른 속도로 발전한 만큼 IT 업계 풍경도 급격히 변화했는데요. IT 업계 근간을 이루는 개발자의 업무도 빠르게 바뀌었습니다. 시기별로 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990년대 개발자

이때 개발자들은 기술 정보와 지식을 머릿속에 저장하고 개발해야 했습니다. 컴파일러 최적화 성능이 좋지 않아 이들은 컴파일러에 최적화된 코드 패턴(Loop Unrolling, Dead Code Elimination 등)을 작성해야 했는데요. 컴퓨터 구조를 모르면 사람의 실수로 성능이 떨어지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일쑤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