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인포그랩에서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Fabbro입니다. 저는 컴퓨터공학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공자 출신 엔지 니어인데요. 인포그랩에 입사한 지 1년 6개월이 조금 넘었습니다.
이 글은 DevOps 전문 기업인 인포그랩에서 비전공자 출신인 엔지니어가 회사 입사 후 경험한 일과 엔지니어의 삶에 적응하는 과정을 사계절 테마로 나눠 다뤘습니다. 문과 감성을 담은 엔지니어의 글임을 고려하며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1장 봄
개발자가 되기로 결심한 사연
제가 개발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데에는 전 직장의 업무가 큰 영향을 줬습니다. 제 업무는 상담사의 실적 데이터를 엑셀로 관리하면서 그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이를 토대로 상담사에게 실적을 압박하는 관리 업무였습니다. 문제는 전 직장이 굉장히 오래된 회사로 전형적인 수직 구조를 띄고 있었다는 건데요. 술 강요, 수직적 업무 체계는 탈출 욕구를 키우는 데 큰 역할을 했죠.
전 술을 강요하지 않는 직업을 찾다가 개발자를 발견했습니다. 엑셀을 다루는 업무가 재미있었지만 제 업무는 ‘잘해야 본전’이었는데요. 이와 달리 개발자는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일을 하면서 동료에게서 인정받는 건 물론, 스스로 자신의 성과를 대외적으로 자랑까지 할 수 있더라고요. 제게는 이런 점이 너무 충격적이고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이에 당장 개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겨울인 줄 알았는데 봄이었다

개발 공부를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엑셀 함수를 다루는 일이 개발자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던 저 자신이 미워졌습니다. 엑셀 함수를 실행하는 환경(개발 환경)을 만드는 것부터 어렵더군요. 그렇지만 끊임없이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그걸 해결했을 때 오는 강력한 희열에 중독되어 개발에 재미가 붙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1년이 흐르고 저는 국비학원도 수료하고, 정보처리기사 자격증도 따고, 개인 프로젝트도 수행해 마치 개발자가 된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머지않아 ‘현실이 겨울처럼 냉혹하다’는 걸 깨달았죠. 개발자로 취업하는 과정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포기할 수 없었습니다. 여전히 개발자라는 직업은 제게 마법사처럼 환상적이고 멋있는 직업이었거든요. 그래서 저는 “나를 알아봐 주는 기업은 정말 좋은 기업일 거야! 그래서 좋은 기업을 만날 때까지 시간이 조금 더 걸리는 거야!”라고 자기최면을 걸었죠. 그러던 어느 날 드디어 제게도 ‘인포그랩’이라는 봄이 찾아왔습니다.